무안군의 연혁
통일신라시대
- 경덕왕 16년 (757) : 무주의 무안군
고려시대
- 혜종 원년 (944) : 물량군
- 성종 10년 (991) : 나주목의 무안군
- 명종 2년 (1172) : 무안현
조선시대
- 태종 13년 (1413) : 전라도 무안현(현감)
- 고종 32년 (1895) : 나주부의 무안군
- 고종건양원년 (1896) : 전라도의 무안군
- 고종광무원년 (1897) : 무안부로 승격
일제강점기
- 1914. 03. 01 : 무안군 (목포부 분리)
- 1939. 04. 04 : 석곡면이 몽탄면으로 개칭
대한민국
- 1957. 11. 06 : 면성면을 무안면으로 개칭
- 1969. 01. 01 : 무안군에서 신안군이 분군
- 1979. 05. 01 : 무안읍 승격
- 1980. 12. 01 : 일로읍 승격
- 1983. 02. 15 : 운남면 승격
2읍 7면, 법정리 103, 행정리 399 - 2011. 01. 03 : 3읍 6면, 법정리 103, 행정리 399
- 2011. 08. 08 : 3읍 6면, 법정리 103, 행정리 416

인구
- 36,211세대 / 82,598명(2018. 2. 28.기준)
- 1969년 분군(신안군)시점 인구(144,086명) 57.3% 수준
- 매년 감소추세가 '07. 9월(61,427명) 이후 증가로 전환
면적
- 448.95㎢(전남의 3.7%)
- 경지 40.4%, 임야 33.4%, 기타 26.2%(도내평균 경지비율 26.2%)
- 231.8km의 해안선을 따라 비옥한 황토와 청정갯벌(211.1㎢)이 널리 분포
갯벌도립공원 지정 고시 제107호, 2008. 6. 5(전라남도), 42.0㎢
행정
- 행정구역 : 3읍 6면, 법정리 103, 행정리 416
- 행정조직 : 2실 10과
직속기관 2, 사업소 5, 의회 1, 읍면 9 - 공무원수 : 652명
남악신도시 인구증가에 따라
2011. 1. 1 삼향면이 읍으로 승격
농공단지 현황
- 4개 농공단지 125개업체 (일로:21, 삼향:40, 청계1:44, 청계2:20)
지방의원
- 10명 (도의원 2명, 군의원 8명)
교육시설
- 119개교(대학3, 고5, 중10, 초20, 유치원·어린이집81)